내가 좋아한 콘솔 게임기
페이지 정보
본문
S | ![]() ![]() ![]() |
---|---|
A | ![]() ![]() ![]() |
B | ![]() ![]() ![]() ![]() |
C | ![]() ![]() ![]() |
D | ![]() ![]() ![]() |
F | ![]() |
내가 좋아한 콘솔 게임기 티어요약
- S티어 : 슈퍼 패미콤, 플스4, 플스2
- A티어 : 게임큐브, 드림캐스트, 엑스박스360
- B티어 : 플스5, 플스1, 패미컴, 메가드라이브
- C티어 : 플스3, wii u, 새가새턴
- D티어 : 구 엑스박스, wii, 엑박 시리즈
- F티어 : 엑스박스원
슈퍼 패미컴 - 어린시절 2D JR{G의 제왕 스트리트 파이터2 를 비롯한 격투 게임도 당시에는 최고 수준의 이식
ps2 - 플스 최전선기중 하나 귀무자 데메크 갓오브워 등등 나열하기 어려울정도의 명작 러시
ps4 - 다시 찾아온 최전성기 호라이즌 제로던을 비롯한 고스트오브 스시마 스파이더맨등의 독점작도 풍부
A등급
게임큐브 - 사실 패배한 게임기지만 너무 이쁘게 만든 모양새. 그리고 당시 바이오 하자드 리메이크와 바하4등의 명작을 보여줌.. 개인 취향..
드림캐스트 - 버파3를 집에서 할수 있다는 점과 소울칼리버의 초월 이식.. 그리고 아케이드 초월 이식 게임이 수두룩 .. 하지만 패배 게임기
액박 360 - 엑박 최전성기라 생각 되는 시기. 플스3 대비 동일 게임 퍼포먼스도 좋았고 기어즈 오브워 시리즈나 헤일로 시리즈등의 전성기
B등급
패미컴 - 분명 어린시정 최고의 게임기 이긴 했지만. 당시에도 그래픽이 좋다고 보긴 어려웠던.. 그당시에도 아케이드에 네오지오 게임도 있었구..
메가 드라이브 - 패미컴에서 넘어가서 16비트 게임기의 저력을 보여주었으나.. 슈퍼 패미콤 대비 하여 jrpg나 이식작에서 열세를 종종 보임
플스1 - 당시 철권을 집에서 할수 있어서 기대를 많이 함 좋은 게임도 많았지만 게임기가 수명이 짧고 자주 고장났음.. 로딩 너무 길어서.
플스5 - 최근에도 즐기는 게임기.. 빠른 로딩 나름의 독점작.. 그런데 크고 못생긴 기기 그리고 적어진 독점작 비싼 가격
c등급
플스3 - 당시에는 언차티드나 갓오브워 인포머스 등의 명작도 있긴했지만 초반의 삽질과 처음에 나온 참치의 보드 불량.. 패드 진동 제거 등등 헛방을 많이 날렸던 기기 개인적인 애착이 덜감. 오히려 최근에 종종 게임하는데.아쉬운점이 많은 게임기
WII U
개인적으로 애정하는 게임기 이지만 이후 대부분 스위치로 이식되어 버리고 애매한 패드 컨셉으로 패망한 게임기
세가 새턴
플스와 경재할떄 버파 와 랑그릿사 때문에 결국 나중에 구입해서 플레이 했지만 오묘한 3d 성능 떄문에 아쉬움이 가득. 2d 게임음 램팩 때문에 굿
D등급
구엑박 - 당시 최강 성능이었지만 장르가 편중된 게임이 많아서. 아쉽. 북미 게임이 압도적 이었음 성향차이가 좀.. 이후 개조 에뮬레이터 머신으로
WIi - 당대 성공한 게임기 이지만 처음에 모션 게임이 즐거웠으나 반대로 모션 컨트롤러 때문에 일반게임은 즐기기 어려었고 지금의 닌텐도가
그래픽적으로 다른 회사와 1~2세대 차이가 나게 만든 원흉이라 싫어함
엑박 시리즈 .. - 기기는 잘만들었음. 성능도 좋은.. 그런데 게임이 별로 없음.. 멀티 게임이 많아서 .최근 독점작도 플스로 이식중. 게임패스 머신이지만
pc 멀티작의 경우 pc로 플레이 하다보니 점점 사용할일이 없어짐
F등급
엑스박스원 - 플4에게 큰차이로 패배 엑원 엑스로 높은 성능으로 다시 나왔지만 이해가 안될정도로 느리고 불편한 OS로 인하여 사용을 안하게 만든
게임기
아무래도 개인적 취향이 많이 섞여서
좀 공감 받기 어려운 순위도 많네요
슈퍼패미콤 최고는 아무래도 어린시절
추억 보정이 큰것 같습니다.